발간자료실
제목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2024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 사업보고서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14 | 조회수 | 30 |
첨부파일 |
다운로드 하기
첨부파일 없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보고서_2024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 사업보고서
저자 하형석
공동저자 김기헌, 최인재, 한지형
발행일 2024-12-31
목차
Ⅰ. 개요
1. KCYPS 개요1
2. KCYPS 20184
3. 2024년 사업 개요9
4. 2025년 사업 계획(안): KCYPS 202515
Ⅱ. KCYPS 2018 제7차년도(2024년) 조사
1. 조사 내적 변화: 성인 이행기/학교급 전환기21
2. 조사 외적 현황: 성인 이행기 경제적 변화 및 비인지적 역량 발달28
3. KCYPS 2018 제7차년도(2024년) 조사 내용37
4.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및 승인통계 변경승인42
5. 실사 준비44
6. 실사 진행 및 관리5
Ⅲ. KCYPS 2018 제6차년도(2023년) 데이터 구축
1. 제6차년도 조사 결과67
2. 패널 유지 및 이탈 유형75
3. 가중치 산출80
4. 주요 조사 결과89
5. 데이터 공개105
Ⅳ. 데이터 활용·분석 및 이용실적 관리
1.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 개최 111
2. 데이터분석보고서 발간123
3. 데이터 이용실적 및 이용자 만족도129
Ⅴ. KCYPS 2010 중1 코호트 유지조사(제8차)
1. 유지조사 개요137
2. 제7차 유지조사 주요 결과140
3. 제8차 유지조사(2024년)143
참고문헌147
부 록
부록1.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조사문항 출처159
부록2. 아동·청소년용(초등) 제7차년도 설문지159
부록3. 아동·청소년용(중등) 제7차년도 설문지159
부록4. 아동·청소년용(성인) 제7차년도 설문지159
부록5. 보호자용 제7차년도 설문지159
부록6.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중1 코호트 유지조사 설문지159
부록7.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설문지159
초록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이하 KCYPS)는 아동·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진행 중인 KCYPS 2018은 아동·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복합적인 변화양상을 체계적이고 다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KCYPS 2018은 제7차년도 조사에서는 중1 코호트가 성인(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1학년 등)이 된 조사 내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아동·청소년용 설문지를 초등, 중등, 성인의 총 3종류로 구분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추가된 성인용 설문지는 조사 내적인 변화와 성인 이행기 경제적 변화 및 비인지적 역량 발달 등 조사 외적인 현황을 고려하여 기본 모듈에 현재 상태에 대한 문항과 각 상태(대학(원)생), 취업자, 무직자)별 설문 문항을 추가하였다. 제7차년도 조사의 스페셜 모듈은 조사 내적/외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혼/출산관, 시간선호, 용서하는 성향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제7차년도 조사 실사는 중1 코호트가 성인(고등학교 졸업(경제활동인구), 대학교 1학년(비경제활동인구) 등)이 되고, 초4 코호트가 고등학교 1학년으로 진학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실사를 진행하였다. 주거 지역이동, 군입대 등 추적조사에 영향을 주는 조사 내적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패널 세분화(직장인, 대학생, 수험생, 기타(해외 유학, 군입대(입대 전, 휴가 시기)) 관리 및 카카오채널 청소년 정보 서비스 제공 등 전략을 수립하였다.
2011년부터 매년 정례적으로 개최되어온 ‘한국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는 올해로 13주년을 맞이하였고, 금번 학술대회는 4개 세션 12개 주제로 총 4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학술대회는 아동·청소년·청년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연결되는 학제 간 융합과 학술연구 및 정책 발전에 기여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가진 공공재 특성 상 패널사업 목적 달성 파악을 위해 데이터 활용실적을 조사하고 관리하고 있다. 현재까지 공개된 KYPS 2003, KCYPS 2010, 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한 학술논문 등이 약 4,183여 편에 달할 정도로 학술연구에서의 활용도가 높으며, 아동·청소년·청년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패널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조사 차수가 쌓여갈수록 장점들이 더 극대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학계의 관심과 데이터 활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